바이든과 트럼프의 공통 분모는? Ⅰ. 경제는 중국? 이제 경제도 정치도 미국! 2024년 1Q 대미 수출액은 2003년 2Q 이후 처음으로 대중 수출액을 넘어섰습니다.
그동안 한국의 최대 무역 파트너는 중국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경제는 중국, 정치는 미국이라는 표현이 종종 쓰였습니다. 한국의 대중 수출 비중은 2020~21년 중 25% 이상이었으나, 2023년에는 20% 이하로 낮아졌습니다. 대미 수출 비중은 2023년 기준, 약 18% 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의 수출입 구조가 중국 → 미국 중심으로 재편된 것은 '미중 갈등 심화', '미국의 주요 산업 내재화 정책' 에 따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한동안 국내 반도체, 전기차 및 2차전지 관련 기업들은 미국내 직접 투자(FDI)를 확대할 것으로 보이며, 미국 내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의 대미 직접투자(FDI) 변화 … 서비스업 → 제조업?
2021년까지 한국의 대미 직접투자(FDI)는 서비스업이 약 90% 를 차지하였으나, 2022년 이후에는 제조업(IT, 기계 등) 비중이 45% 수준까지 크게 증가되었습니다.
|
|
|
대미 주요 수출 품목은 자동차, 반도체, 무선전자기기 등이며, 최근 주목받는 제품은 전기차, 2차전지 및 2차전지 소재, 기계류 등입니다. 미국의 친환경 정책, 인프라 투자 정책의 수혜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는 삼성전자,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투자 관련 주요 뉴스입니다.
"삼성전자, 미국 반도체 보조금 64억 달러 수혜 예상" … 인텔 85억 달러, TSMC 66억 달러 보조금 지원
삼성전자는 향후 수년 간 400억 달러를 미국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2021년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지역의 신규 투자(170억 달러) 금액의 배 이상 늘릴 것을 밝혔습니다. 신설되는 테일러 팹(Fab)에서는 2nm 공정을 가동하게 됩니다.
"현대차그룹,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 전용 공장 건설" … 태양광 전력 가동
현대차그룹은 매트릭스 리뉴어블스(Matrix Renewables)와 함께 신규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147MW 규모), 15년(2025~2040) 장기 전력구매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 PAA)을 체결했습니다.
인프라 투자, 상당 기간 진행될 것 … AI 가 쏘아올린 그리드(Grid)
전기차 시대의 도래는 전동화 비중을 높이는 출발선이 되었습니다. AI 의 대중화는 전력 수요 충족을 위한 전력 인프라를 필요로 합니다. 전세계 곳곳에 건설되고 있는,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데이터 센터가 건설되고 있습니다.
또, 최근 북미 지역에서는 도심 및 부도심의 인구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콘도 및 아파트 등 다세대 주택 및 대중교통 수요가 증가하면서 유틸리티 인프라 개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인프라 투자 수요는 AI 대중화, 북미 지역의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상당 기간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북미 수주 실적이 높은 국내 중공업, 건설 및 기계, 전기 관련 업종의 주가 상승세와 관련이 높습니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2021년 2월 취엄 이후, 4대 핵심품목(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희토류 등) 및 6대 산업에 대한 공급망 점검 보고서를 발표하고, 반도체 지원법(CHIPS),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을 통해 주요 산업 공급망 내재화 정책을 본격화하였습니다.
#제조업 #인프라 #IT #유틸리티
|
|
|
Ⅱ. "주가는 실적의 꿈을 먹고 자란다(Quality)."
연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진 미국, 미래의 성장성(Growth)이 아닌 오늘의 안정성(Quality)에 집중합니다. 현금흐름(Cash flow) & 실적(Earning)
지난 한 주(240415~240419) 동안, 미국 증시는 기술주 중심의 약세가 진행되었습니다. 테슬라(TSLA:US), 엔비디아(NVDA:US) 는 -10% 이상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이번 주에는 기술주가 달라진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까요?
이번 주에는 미국 빅테크 및 주요 기업의 1분기 실적이 발표됩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구글), 코카콜라, 맥도날드, GE, 메타, AT&T, 보잉, 아마존, 일라이릴리, 인텔, 엑슨모빌, 셰브론, 소니 등
|
|
|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진 시점에서는 고금리 환경에서 안정적인 실적, 성장이 가능한 기업을 중심으로 투자해야 합니다.
안정적인 현금흐름, 실적을 유지하는 우량주(Quality) 투자를 권유드립니다.
#FLOW
|
|
|
Ⅲ. 전시 투자(Wartime Investment)
미국과 중국은 패권 유지를 위한 공급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조선 & 해운(Shipbuilding & Shipping)
미국은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등 4대 핵심 공급망을 넘어 조선(Shipbuildiing), 해운(Shipping)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움직이고 있습니다.
중국은 전세계 선박의 50% 이상을 건조하고 있으며, 나머지를 한국과 일본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즉, 동아시아 지역 3국(한국, 중국, 일본)이 전세계 선박의 95% 이상을 건조하고 있는 셈입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주목하는 것은 중국의 불공정 관행입니다. 중국 정부는 화물선 건조 비용의 13~20% 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는 다른 경쟁 국가 및 기업보다 저렴한 건조 비용을 바탕으로 전세계 조선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조선 산업은 민간과 군사의 경계가 모호합니다.
중국선박공업집단공사(CSSC)에서는 전세계 벌크선의 20% 수준을 건조하고 있으며, 중국 해군의 주요 군함을 건조하고 있습니다. 유사시에는 조선소 내 용도 변경을 통해 군함을 신속하게 건조 또는 수리하게 될 것입니다.
미국은 자국 내 조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을 검토하고 있으며, 한국, 일본 등 주요 동맹 파트너와 함께 공급망 안정화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항공우주 및 방산(Aerospace & Defense)
지정학적 위험(Geopolitical Risk)을 상수로 보고, 글로벌 방산주 투자를 일정 비율 지속적으로 투자하는 방향을 권유할 수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은 달 탐사 등을 비롯한 우주 영토 개척 및 확보에 대한 입장을 드러내고 있으며, 주요 항공우주 기업이 국가적 과제를 해결해가고 있습니다. 테슬라의 스페이스X(Space X)는 자사의 위성통신 시스템; 스타링크를 통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간접 개입하고 있으며, 미국과 안보 동맹을 체결한 국가들의 군사 위성을 팰콘9 로켓으로 쏘아올리고 있습니다.
미국 하원은 전쟁중이거나 전쟁 가능성이 높은 우크라이나, 이스라엘, 대만 등에 대한 안보 지원 예산을 통과시켰습니다.
향후, 위 3개국을 포함한 주변 국가들은 지정학적 위험을 헤지(hedge)하기 위해 군비를 증강하고, 신규 무기 도입 등을 진행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
|
|
현재, 군사 충돌이 벌어지고 있는 지역은 우크라이나, 이스라엘, 홍해(후티 반군) 등이며, 대만 해협이 잠재적 군사 충돌 지역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이스라엘-홍해, 남중국해-대만 해협은 한국의 핵심 무역로입니다.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 심각한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경제안보(Economic-Security) 시대에서 한국인은 주요 핵심 공급망 산업으로 분류되는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조선 및 해운, 항공우주, 방산업 등에 대한 관심과 함께 외교안보 환경을 면밀히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경제안보 #조선 #해운 #항공우주 #방산
문득 스쳐 지나가는 생각 … "바이든 & 트럼프의 공통 분모는 인프라, 방산이다."
|
|
|
Ⅳ. 주요 뉴스 요약
1. 메타(Meta Platforms), 새 LLM(대규모 언어 모델) : Llama 3(라마 3) 공개
※ LLM: Large Language Model;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된 언어 모델
2. 미국 하원, "우크라이나, 이스라엘, 대만 등 위한 950억 달러(한화 130조 원) 지원안 처리" … 상원 통과 유력
※ 대만을 중심으로 미국의 인도-태평양 동맹 및 안보 파트너십 강화 지원
3. 보스턴 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 "HD Atlas" → "All New Atlas"
새 휴머노이드 로봇 All New 아틀라스 공개
기존 유압식 구동 방식의 HD Atlas 를 퇴역시키고, 전기식 구동 방식을 채택한 All New Atlas 를 선보였습니다. All New Atlas 는 현대차 공장에 시험 투입될 예정입니다.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1992년 MIT 분사 기업으로 설립된 이후, 구글(2013~17), 소프트뱅크(2017~20), 현대차그룹(2020~ )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
|
|
토트인베스트먼트 thothfund@thothfund,ne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8, 4층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