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만 침공 억제 우선" vs 중국, "대만 봉쇄 준비 완료" 토트 뉴스레터
2025년 4월 1주
THOTH KOR-US ETF Portfolio
미중 전쟁 준비 |
|
|
Ⅰ THOTH KOR-US ETF Portfolio
토트 한미 ETF 포트폴리오 |
|
|
※ 2025년 4월 포트폴리오는 전월과 변동 사항이 없습니다.
지난 주 뉴스레터에서 '로봇', '양자', '방산' 을 주요 투자 키워드로 소개드린 바 있으며, 그 중 '로봇', '방산' 이 ETF 포트폴리오에 포함되었습니다.
'양자' 관련 ETF 를 포함될 경우, 투자 리스크가 다소 높아질 수 있으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투자를 제안드릴 수 있습니다.
- 미국 ETF│(QTUM ETF) Defiance Quantum ETF
- 국내 ETF│KoAct 글로벌양자컴퓨팅액티브 ETF
|
|
|
Ⅱ
미국 vs 중국
🇺🇸🇨🇳
워싱턴포스트(WP), "미국, '중국의 대만 침공' 최우선 대응"
미국 무역대표부(USTR), "중국에 항구적 정상무역관계(PNTR) 박탈할 것"
월스트리트저널(WSJ), "중국, 대만 봉쇄 준비 완료"
미국이 중국의 대만 침공 시점으로 2027년 2월을 예상한 이후, 전쟁 가능성을 상정하고 대비 태세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지난 주부터 대만을 둘러싼 안보에 관련한 굵직한 보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워싱턴포스트(WP) 는 미국 국방부 '임시 국가방위전략지침' 내부 보고서를 보도했습니다. 기사에 따르면, 미국은 유럽 및 중동 안보를 동맹에 맡기고, 중국에 총력 집중하는 내용이 담겼다고 전했습니다. 미국이 대만 침공, 점령을 저지하는 구체적 내용을 담은 것입니다.
미국은 중국의 대만 점령을 저지함으로서 중국의 태평양 진출을 저지할 수 있으며, 한국과 일본이 중국의 경제 및 안보 영향에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한국은 중국의 대만 침공 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시나리오에 대응하고, 북한 및 러시아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군사 안보 측면을 넘어 무역로 차단 등에 따른 경제적 충격을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
|
|
- 북한 : 대한민국
- 러시아 :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일본
- 이란 :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해당 보고서 내용을 종합해보면,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경우, 미국이 직접 대응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즉, 미국은 중국과의 전면전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미국은 중국에 대응하기 위해 주한미군을 차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북한의 도발에 한국이 미군의 지원없이 대응해야 할 수 있습니다. 러시아에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 특히, 유럽 서방 국가들이 대응하게 되며, 이란은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가 대응해야 할 수 있습니다.
중국이 대만을 침공하게 될 경우, 인근 해역에 배치된 일본 해상자위대가 미국을 지원할 것으로 보이며, 한국은 북한과 러시아의 도발을 억제하기 위해 대만 방어 및 지원에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은 대만의 주요 인프라를 공습하고, 해상을 포위하고, 해경을 동원하여 기뢰를 매설, 해저 케이블을 훼손하는 등 … 대만과 외부 세계를 분리, 차단하게 될 것으로 보도했습니다.
|
|
|
- 대만 봉쇄 및 침공 시, 해상 무역로 위협 … 아세안, 중동, 유럽 영향
- 대 중국 무역 및 금융 제재 따른 경제적 충격 클 것
- 국내 주한미군 레이더 기지 등 공격 대상될 수도 … 사드 기지 등
특히, 한국은 무역의존도가 높고, 아세안(ASEAN), 유럽연합(EU), 중동 지역 국가와의 교역량을 고려할 때, 전쟁에 따른 경제적 피해가 가장 큰 나라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과 중국의 전면전이 가시화될 경우, 국가 간 정규전으로 이어지면서 경제적 충격은 그 어느 때보다 커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전 세계 1, 2위를 다투는 G2 간의 전쟁이라는 점에서 국가는 물론 민간 차원의 대응이 필요합니다.
전쟁으로 인한 물자 부족에 대응하고, 원화(KRW) 가치 하락에 따른 외화(USD, JPY, EUR 등) 확보 등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4월 2일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4월 1일에 중국의 최혜국 지위를 박탈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 는 중국의 항구적 정상무역관계(PNTR) 지위를 박탈하는 내용을 통보할 것으로 보이며, 미국은 중국에 대한 즉각적 관세를 시행할 수 있는 법적 효력을 갖게 됩니다.
현재까지 미국의 PNTR 지위를 불인정받는 나라는 북한, 러시아, 벨라루스, 쿠바 등 4개국에 불과합니다.
|
|
|
토트 뉴스클리핑 📝
현대차그룹, "미국에 200억 달러 투자 … 현대제철, HMGMA 등" 🚗
현대자동차그룹이 총 200억 달러(한화 30조 원 상당) 규모의 미국 투자 계획을 공식 발표하였습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등은 백악관에서 공식 발표하였으며, 자동차 공장은 물론, 50억 달러 규모의 현대제철 철강 공장이 포함됩니다.
한국은행 블로그, "서학개미 분산투자 필요 … 변동성 관리" 🐜
한국은행 블로그에 <서학개미, 이제는 분산투자가 필요할 때> 라는 제목의 포스팅이 게재되었으며, 게재된지 약 4일이 지난 시점 1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 이후 정책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변동성 우려가 확대됨에 따라 미국 일부 종목에 대한 편중을 줄이고, 국내외 다른 종목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4월 3일부터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 부과"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월 3일부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대상은 모든 외국산 자동차와 핵심 부품입니다. 한국은 자동차가 대미 수출 품목 1위라는 점을 고려할 때, 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될 수 있습니다.
미국은 3월 12일에 철강, 알루미늄과 그 관련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한 바 있으며, 이후, 4월 2일부터 전 세계 무역 상대국에 약 20% 수준의 상호 관세가 부과될 예정입니다.
골드만삭스, 올해 금 가격 목표가 또 상향 📈
골드만삭스가 올해 연말 금 가격 목표가를 이전 3,100 USD 에서 3,300 USD 로 다시 상향 조정하였습니다. 최근, 금의 상승은 인플레이션, 경기 둔화 우려, 무역전쟁, 달러 패권 약화 가능성,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국가 부채 증가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대한민국, 전국적 산불 발생 🚒
2025년 3월 현재,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인 산불이 진행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산불로 확인됩니다. 3월 중순 경북 청도 지역의 산불을 시작으로 경북 의성군을 중심으로 확산되었습니다. 현재, 산불피해 긴급 모금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
|
|
토트인베스트먼트는 투자 성과에 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안정적인 투자 성과를 위한 정확하고 올바른 정보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
|
꼭 필요한 뉴스를 클리핑합니다.
투자에 필요한 정보를 리서치합니다.
여러분의 삶에 도움이 되는 뉴스레터를 만들겠습니다.
|
|
|
토트 뉴스레터는 구독자의 후원으로 운영됩니다.
후원계좌(KRW)
카카오뱅크: 3333-24-9332582 / 토트인베스트먼트
|
|
|
토트인베스트먼트
발행인: 성기원(Winston Seong) thothfund@thothfund,ne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8, 4층
WeWork, 333 Seymour St, Vancouver, BC, Canada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