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경제 효과 │ 대한민국, 전 세계 국력 6위? 토트 뉴스프레소
2025년 2월 3주차 뉴스레터 💌
"AI 가 경제에 기여하는 방식"
(feat. "The Simple Macroeconomics of AI") |
|
|
이미 우리는 다양한 방향에서 AI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ChatGPT 의 등장 이후, 다양한 LLM 기반 AI 검색 엔진이 나오고 있으며, 사용자 또한 늘고 있습니다. 다만, 어떻게 쓰고 있는지가 관건일 것입니다.
AI 가 지식 및 정보 습득에 쓰이는지,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우리가 본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경제에 기여하는 방식과 규모입니다.
토트 뉴스프레소는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발행한 AI 관련 리포트와 작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Acemoglu, D. 의 "The Simple Macroeconomics of AI." 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
|
우리는 AI 에 무엇을 기대할까요? 🤖
오늘날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은 AI 혁신을 위한 정책 구상과 예산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AI 가 혁신의 핵심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AI 가 가져올 생산성, 이를 통한 생산량은 얼마나 확대될 수 있을까요?
AI 를 통한 생산성 증가의 주요 요소로는 '자동화', '업무 보완성', '자동화 심화', '새로운 형태의 작업'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AI 혁신은 한국 경제에서 효과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령화에 따른 생산가능인구 감소를 AI 를 통해 상쇄시킬 것으로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런 애스모글루는 자신의 논문 "The Simple Macroeconomics of AI" 를 통해, 향후 10년 동안 AI 가 미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 총요소생산성(Total Factor Productivity) : +0.53% 미만
- GDP 증가율 : +1.0% 전후
이러한 전망은 지난 2년 전 골드만삭스가 내놓은 전망치와 비교하면 상당히 부진한 효과로 분석됩니다. 골드만삭스는 초지능 또는 일반인공지능(AGI)으로 향후 10년 동안 매년 1.5% 의 생산성 향상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고, 전 세계 GDP 가 10년 간 7% 상승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한 것과 배치됩니다.
대런 애스모글루는 AI 가 비교적 쉬운 목적(task)에 특화되어 있으며, 복잡한 의사결정 및 업무 처리 능력에 있어서 제한된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BOK 이슈노트를 통해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했고, 한국경제의 생산성이 1.1~3.2% 증가, GDP 는 4.2~12.6% 까지 증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했으며, 전체 노동자의 51% 가 AI 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특히, 전 세계 반도체 수출의 23%(1H24 기준)가 한국산 반도체라는 점에서 AI 확산 효과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전방위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 현대자동차 뉴스룸 |
|
|
반도체 수요, 2030년까지 2배 증가할 것 … 시장 점유율 유지한다면?
한국산 반도체 점유율 20% 를 유지하게 될 경우, 2030년까지 반도체 업계의 매출, 이익 증가율 또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할 수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가장 체계적으로 조성된 제조 공급망과 AI 기술의 결합으로 전 산업 영역에 걸쳐 높은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
|
Ⅱ
대한민국, 전 세계 국력 순위 6위?
🇰🇷
국력은 어떻게 평가되는 것일까요?
전 세계 주요 언론사 및 연구 기관, 유명인 등이 매년 국력을 평가하고, 순위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의 국력 및 군사력 순위가 연일 높은 순위를 차지하는 가운데, 토트인베스트먼트가 국력의 평가 기준과 의의를 다룹니다.
|
|
|
전 세계 주요 지표 모두 5~6위 평가, 왜? 🌏
- 국력 순위(Great powers, Ray dalio, 2024) : 한국 6위 🇰🇷
→ 1위 미국, 2위 중국, 3위 유럽연합(EU), 4위 독일, 5위 일본, 7위 인도, 8위 영국
- 국력 순위(USNWR, 2024) : 한국 6위 🇰🇷
→ 1위 미국, 2위 중국, 3위 러시아, 4위 영국, 5위 독일, 7위 프랑스, 8위 일본
- 군사력 순위(GFP, 2025) : 한국 5위 🇰🇷
→ 1위 미국, 2위 러시아, 3위 중국, 4위 인도, 6위 영국, 7위 프랑스, 8위 일본
특정 한 기관이 대한민국 국력에 대해 5~6위로 평가했다면 신뢰성이 낮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기관이 대한민국 국력을 10위 이내로 평가하고 있으며, 군사력의 경우, 5위권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레이 달리오의 The Great Powers Index 를 보면, 유럽연합을 3위에 포함하고 있어서 개별 국가 순위로 볼 때, 5위로 판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전 세계 주요 국력 평가 기관의 평가 기준이 유사합니다. 주요 지표는 경제 규모(GDP), 세계 무역 점유율, 군사력, 기대 수명, 아동 사망률, 만성 질환, 실질 성장률로 측정한 전망치 등이 포함됩니다.
한국은 GDP 순위로는 약 12위 수준의 규모에 랭크되어 있고, 글로벌 무역량 기준으로는 전 세계 7위 수준에 있으며, 군사력은 세계 5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군사력의 경우, 징병제와 예비군 인원에 따른 군 인적자원이 풍부하며, 주요 무기를 국산화하여 경쟁력을 높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토트인베스트먼트의 사견으로는 글로벌 제조 공급망의 핵심 소재, 부품, 장비 및 완제품 생산이 국내에서 가능하다는 점 또한 비교적 높은 국력 평가의 근거 중 하나로 예상합니다.
레이 달리오, "한국은 기축통화 점수 낮고, 금융 역량 낮아" 📉
한국의 국력을 세계 6위, 단일 국가로는 5위로 평가한 레이 달리오의 "The Great Power Index 2024" 는 한국의 낮은 금융 역량과 통화 평가 약점을 보완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한국의 낮은 금융 경쟁력은 오랜 과제 중 하나로 지적되어 왔으며, 낮은 원화(KRW) 거래량 또한 선진국 시장 진입의 걸림돌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레이 달리오가 지적한 금융 역량 강화, 외환시장 개방을 통한 원화 거래량 확대가 이루어질 경우, 국력은 물론 국내 주식시장 또한 긍정적인 평가를 받게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토트인베스트먼트는 주요국 국력 평가에 관하여 레이 달리오의 "The Great Powers Index" 를 비교적 잘 정리된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The Great Powers Index 2024 에서 제시한 국력 상위 15위입니다.
- 미국
- 중국
- 유로존(Euro zone)
- 독일
- 일본
- 대한민국
- 인도
- 영국
- 프랑스
- 러시아
- 싱가포르
- 호주
- 튀르키예
- 캐나다
- 스위스
|
|
|
토트 뉴스프레소 📝
트럼프, "오는 4월 2일부터 자동차 관세 부과할 것"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월 2일부터 자동차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국내 자동차 업계의 피해가 예상됩니다.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347억 달러(한화 50조 원)에 달하며, 전체 대미 수출의 27%(1위) 를 차지했습니다. 미국 수입 자동차 시장 중 한국이 사실상 1위를 차지하는 가운데 가장 큰 타격을 입게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트럼프, "3월 12일부터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할 것"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3월 12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은 대 미국 철강 수출국 중 4위에 해당하며, 알루미늄은 3위에 해당하는 등 수출 경쟁력이 비교적 높은 나라입니다. 25%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 내 철강 및 알루미늄 기업, 캐나다, 멕시코의 철강 및 알루미늄 기업 대비 경쟁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메타(Meta Platforms), 국내 AI 반도체 '퓨리오사AI' 인수 추진 🤖
페이스북 운영사인 메타가 국내 인공지능(AI) 반도체 스타트업 퓨리오사AI 의 경영권 인수를 추진하며, 이르면 이달 중 마무리될 것이라고 포브스가 보도했습니다. 메타는 자체 개발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인수하는 것으로 관측되며, 데이터센터 구축에 필요한 AI 반도체를 자체 개발 및 생산하기 위한 포석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의회, 인도-태평양 안보 동맹국의 미 해군 함정 건조 허용 추진 🇺🇸
미국 의회가 미국 안보 동맹국에 한해 군함을 포함한 정부 선박 건조를 허용하는 법안을 발의했으며,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 '해안경비대 준비태세 보장법' 으로 불립니다. 미국 조선소보다 저렴하고, 중국의 통제를 받지 않는다는 조건을 명시하여, 국내 조선업계가 미 해군 군함 건조를 추진하게 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2024년 전 세계 국방비 3,570조 원 지출 … +7.4% 증액 지출 🚀
지난 해 전 세계 각국의 국방비 지출 규모는 2조 4,600억 달러로 한화 3,570조 원에 달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영국 국제문제전략연구소(IISS)에 따르면, 지난 해 전 세계 국방비 증가율은 약 +7.4% 이며, 유럽 국가들이 +11.7% 로 크게 늘었으며, 중국 또한 +7.4% 증가율을 기록했다고 전했습니다.
|
|
|
꼭 필요한 뉴스를 클리핑합니다.
투자에 필요한 정보를 리서치합니다.
여러분의 삶에 도움이 되는 뉴스레터를 만들겠습니다.
|
|
|
뉴스프레소는 토트인베스트먼트의 뉴스레터 브랜드입니다. |
|
|
뉴스프레소는 뉴스레터 구독자의 후원으로 운영됩니다.
※ 후원은 USD 로 결제됩니다. 이 점 참고하여 주십시오.
|
|
|
토트인베스트먼트
발행인: 성기원(Winston Seong) thothfund@thothfund,ne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8, 4층
WeWork, 333 Seymour St, Vancouver, BC, Canada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