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vs 중국 : 생산성 경쟁 … AI & 로봇 그리고 조선 THOTH Newspresso
5th January 2025
2025년 2월 토트 ETF 포트폴리오는 다음 주 발송 예정입니다. |
|
|
Ⅰ 'Made in USA' Project
트럼프 행정부는 어떻게 'Made in USA' 시대를 열 수 있을까요?
🇺🇸
⚙️🤖🚀 |
|
|
🇺🇸🇨🇳
중국의 도전, 미국의 응전
"중국의 생산 능력, 어떻게 제한할 수 있을까?"
토트인베스트먼트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및 기술 경쟁을 패권 경쟁으로 규정하고, 이와 관련한 산업들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경제가 곧 국가안보와 직결됨을 고려하여 경제안보(Economic-Security) 중요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미국과 중국의 첨단 산업 경쟁을 통해 패권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중국이 미국에 도전하고, 미국이 응전하는 구도는 과거 냉전 시기를 고려할 때, 최소 20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 패권 경쟁 정점에서는 '생산 능력' 으로 결정될 것 … '생산성' 경쟁
- "Made in USA"
중국이 저렴한 생산 비용과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생산 능력을 강화하고, 제조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2015년 5월, 중국 국무원이 산업고도화 전략으로 '중국제조 2025' 를 발표했으며, 이는 기술 자립화를 통한 미국 패권에 도전하는 방향성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Made in USA' 를 주창하면서, 미국 내 생산, 고용, 소비 촉진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즉, 미국의 제조 공급망 부활입니다.
- 관세 인상을 통해 가격 경쟁력 및 재정 확보
- AI & 로봇 활용으로 생산성 향상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여 미국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재정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확보된 관세를 미국 제조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투자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더 저렴하게, 더 많은 생산이 필요합니다." ⚙️
미국이 중국보다 제조 경쟁력에서 앞서기 위해서는 생산성 향상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현실적으로 지대, 노동 비용을 줄일 수 없는 상황에서 생산성 향상이 유일한 방안으로 보입니다. 미국은 중국보다 앞선 AI 기술을 바탕으로 생산성 향상을 추구할 것으로 보이며, 로봇을 활용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행정부 기간은 물론, 앞으로 진행될 미국과 중국의 경쟁 시대에서 '관세', 'AI', '로봇' 은 지속적으로 주목받을 수 있는 키워드가 될 것입니다.
- AI & 로봇 : 빅테크, 반도체 등
- 제조 : 자동차, 방산, 조선, 배터리 등
- 에너지 : 원유, 천연가스 및 인프라 등
#BOTZ
#TIGER글로벌AI&로보틱스INDXX
#ACE미국중심중소형제조업 |
|
|
Ⅱ
Why focus on South Korea's Shipbuilding?
우리 조선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
|
|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국내 조선사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해군의 재건에 있어서 국내 조선사들이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입니다. 현재까지, 국내 조선사 중 한화오션이 미 해군의 MRO 사업을 수주했으며 미국 내에 조선소를 직접 인수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는 도크(dock)가 없고, 선박 건조 준비가 되지 않았으나, 준비될 때까지 동맹국을 활용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밝힌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국내 조선사는 미국 조선사 대비 훨씬 저렴하고, 빠르게 건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향후 2년 내 미 해군 함정 건조 계획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미중 패권 경쟁, '대만해협' 서 이뤄질 것 … 해군 경쟁력 필요 🇺🇸🇨🇳
- 미국산 원유, 천연가스 수출 증가 전망 … LNG운반선 수요 증가
- 미국, 중국 조선 및 해운업 규제 전망
위의 3가지 가능성을 고려할 때, 국내 조선사 투자 매력도가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며, 'AI & 로봇', '방산' 과 함께 '조선' 업종 투자를 주목합니다.
함께 주목할 섹터로 '원자재' 를 제안합니다. AI 산업의 성장이 에너지 수요 증가 및 원자재 사이클로 이어질 가능성에 주목합니다.
#TIGER조선TOP10
#PLUSK방산 |
|
|
토트 뉴스프레소 📝
오픈AI-오라클-소프트뱅크, AI 합작 회사 '스타게이트' 설립할 것 … 5,000억 달러 규모 전망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연 기자회견을 통해 오픈AI-오라클-소프트뱅크가 참여하는 스타게이트 AI 합작회사를 공개했습니다.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은 기업들이 1,000억 달러를 바로 투자하고, 나머지 4,000억 달러를 향후 4년 동안 투자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FT 발표에 따르면 해당 합작회사는 오픈AI 에만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아직 자금 조달 계획이 명확하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 '딥시크-V3' 출시 …"챗GPT 성능 유사" 🇨🇳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 가 '딥시크-V3' 를 출시했으며, 딥시크가 공개한 기술 보고서에 따르면 '챗GPT' 와 성능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딥시크-V3 개발에 투입된 비용은 약 557만 달러(약 78억 원)에 그쳤습니다. 뉴욕타임스(NYT) 는 딥시크가 오픈AI, 구글 등 실리콘밸리의 빅테크 기업보다 첨단 칩을 적게 사용하고도 경쟁력 있는 챗봇을 만들어냈다면서 미국의 AI칩 수출 규제의 한계가 있음을 지적했습니다.
'한국판 IRA'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 발의 … K-배터리 지원 주목 🇰🇷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이 대표 발의한 '조세특례제한법 일부 개정 법률안' 이 전기차 캐즘을 겪는 국내 배터리 업계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배터리 제조 등을 포함한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투자세액공제 방식을 기존 법인세 공제와 함께 현금 환급, 제3자 양도 방식으로 보완하게 되며, 이를 소급 적용할 수 있도록 개정하게 됩니다.
LG전자, 베어로보틱스 인수 … 로봇 산업 강화 🤖
LG전자가 AI 기반 상업용 자율주행로봇 전문 기업인 '베어로보틱스' 를 인수하면서 로봇 산업을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자회사로 편입했으며, LG전자 또한 로봇 산업에 공을 들이는 모습입니다.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를 통해 상업용, 가정용 로봇 사업을 강화할 것이라고 보이며, 삼성전자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집중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콜롬비아에 25% 긴급 관세 부과 … 1주일 후 50% 로 인상, 왜? 🇺🇸🇨🇴
미국에 불법으로 체류하던 콜롬비아 국적자들을 태운 항공기 착륙을 콜롬비아 정부가 거부하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즉각적으로 25% 긴급 관세 부과를 지시했으며 1주일 후 50% 로 인상하도록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착륙 거부가 미국의 국가 안보와 공공 안전을 위협한 것이며, 긴급하고 단호한 보복 조치를 시행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
|
꼭 필요한 뉴스를 클리핑합니다.
투자에 필요한 정보를 리서치합니다.
여러분의 삶에 도움이 되는 뉴스레터를 만들겠습니다.
|
|
|
뉴스프레소는 토트인베스트먼트의 뉴스레터 브랜드입니다. |
|
|
뉴스프레소는 뉴스레터 구독자의 후원으로 운영됩니다.
※ 후원은 USD 로 결제됩니다. 이 점 참고하여 주십시오. |
|
|
토트인베스트먼트
발행인: 성기원(Winston Seong) thothfund@thothfund,ne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8, 4층
WeWork, 333 Seymour St, Vancouver, BC, Canada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