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방산주, 내년은 어떨까? … 한국, 핵보유국 될 수 있다? THOTH Newspresso
2nd January 2025 |
|
|
2025년에도 '글로벌 방산주' 괜찮을까요? 토트인베스트먼트 글로벌 ETF 포트폴리오에서 글로벌 방산주 ETF 투자는 한동안 더 이어질 전망입니다.
토트인베스트먼트는 미국 ETF 포트폴리오에 (SHLD)Global X Defense Tech ETF 를 제안해왔습니다. 지난 1년 동안, SHLD ETF는 약 35% 의 수익률을 거두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을까요?
|
|
|
방산 분야의 최대 고객은? 🛡️
바로, 정부입니다.
각 방산 기업이 소재한 국가의 정부가 최대 고객일 가능성이 높으며, 정부의 방위비 규모, 증가율이 방산 기업의 매출, 이익을 좌우하게 됩니다. 또, 국방 정책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데, 자국 내에서 무기 체계를 개발하거나, 자주 국방에 대한 관심이 높은 나라의 방산 기업의 수익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미국의 방위 산업체의 수익성이 가장 높을 가능성이 높으며, 한국의 방위 산업체 또한 수익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 미국 방위산업체 : 국방비 세계 1위, 자체 개발 및 양산, 세계 방산 시장 압도
- 한국 방위산업체 : 국방비 매년 증가, 자체 개발 및 양산, 높은 수출 증가율
방산업의 수익 구조상 경기 변동에 민감하지 않으며, 정부의 재정 지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경기방어 업종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또, 최근 지정학적 리스크, 경제안보 리스크가 높아진 국면에서 투자 위험을 분산할 수 있는 업종으로 평가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카야 칼라스 EU 외교안보 고위 대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이하 나토) 회원국 방위비 증액해야"
트럼프 당선인은 물론, EU 내에서도 나토 회원국의 방위비 투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현재, 나토 회원국들의 방위비 지출 목표치는 GDP 대비 2% 로 이를 충족하는 나라는 32개국 중 23개국에 해당합니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전부터 GDP 대비 3% 를 요구해왔으며, 최근에는 5% 로 상향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이에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방위비 증액이 예상되며, 방산 기업의 매출 또한 크게 높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 세계 주요국 국방비는 매년 3.5% 이상 증가할 것으로 추산되며, 2027년에는 3조 달러(한화 4,400조 원 상당)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 글로벌 국방비 지출 전망(source; SIPRI) |
|
|
중국과의 전쟁을 준비하는 미국 🇺🇸🇨🇳🇹🇼
미국, "2027년 2월에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것"
미국은 중국이 2027년 2월에 대만을 침공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유사시에 적극 대비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대만을 방어하고, 중국의 공격을 무력화하기 위한 군사 시설을 확충하고 있습니다.
- 드론(Drone) : 공격용, 군수지원용(*공중급유 및 정찰 감시 등)
눈에 띄는 군사 장비로 무인 무기체계, 드론에 주목합니다. 미국은 드론을 활용하여 장거리 타격을 구상하고 있으며, 공격용 드론과 공중급유 및 정찰 감시를 위한 무인기 체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무인 무기 체계는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연 10% 이상 고성장하고 있으며, 무기 체계 가운데 가장 성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합니다.
2023년 기준, 글로벌 주요 방산 기업 방산 매출 순위(source; SIPRI)
- 록히드 마틴, 미국🇺🇸 : $60,810M
- RTX, 미국🇺🇸 : $40,660M
- 노스롭 그루먼, 미국🇺🇸 : $35,570M
- 보잉, 미국🇺🇸 : $31,100M
- 제너럴 다이내믹스, 미국🇺🇸 : $30,200M
- BAE 시스템스, 영국🇬🇧 : $29,810M
- 로스텍, 러시아🇷🇺 : $21,730M
- AVIC, 중국🇨🇳 : $20,850M
- 중국북방공업, 중국🇨🇳 : $20,560M
- CETC, 중국🇨🇳 : $16,050M
- L3해리스 테크놀로지스, 미국🇺🇸 : $14,760M
- 에어버스, 유럽🇪🇺 : $12,890M
- 레오나르도, 이탈리아🇮🇹 : $12,390M
- CASC, 중국🇨🇳 : $12,350M
- CSSC, 중국🇨🇳 : $11,480M
한국 방산 기업 중 가장 높은 순위는 24위로 한화그룹이 올랐으며, 100대 방산 기업에 포함된 기업으로는 KAI(56위), LIG넥스원(76위), 현대로템(87위) 등이 있습니다.
국내 방산업체는 2022-23년 사이에 매출 증가율 39% 를 기록하면서, 러시아(40%)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매출 성장성을 보였습니다.
토트인베스트먼트가 제안하는 방산 ETF 는?
글로벌 방산 × 한국 방산
- 미국 ETF : (SHLD) Global X Defense Tech ETF
- 국내 ETF : PLUS K방산 ETF
※ 2025년 1월 6일, 현재까지 제안되고 있는 ETF 입니다. 이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토트인베스트먼트는 지난 1년 이상 해당 ETF 를 토트 EMP(ETF Model Portfolio) 를 통하여 추천해왔으며, 현 시점까지 주요 방산 ETF 로 평가,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SHLD #PLUSK방산 |
|
|
Ⅱ
Why should South Korea have Nuclear weapons? |
|
|
미국 비영리 싱크탱크인 미국 외교협회가 발행하는 「Foreign Affairs」 에 <Why South Korea Should Go Nuclear> : <한국이 핵무기를 보유해야 하는 이유> 라는 기사가 기고되었습니다.
최근, 한국의 핵무기 보유에 대한 찬성 여론이 증가하고 있으며, 트럼프 신 행정부 출범으로 미국의 '고립주의 외교' 를 우려하여 자체 핵무장 여론이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여론의 변화는 오늘날 국제 정세 흐름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하며, 이에 토트 뉴스프레소를 통해 해당 기사 내용을 기반으로 가능성과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
|
|
한국은 왜 핵무기를 보유해야 하는가? ☢️
"미국은 서울을 위해 시애틀을 내줄 수 있나?"
샤를 드골 프랑스 전 대통령과 존 F. 케네디 미국 전 대통령과의 유명한 일화를 소개합니다. 미국은 핵개발에 착수한 프랑스를 저지하기 위해 '핵우산' 을 약속했고, 이를 들은 드골은 미국 특사에게 묵직한 질문을 던졌습니다.
"미국은 파리를 보호하기 위해 뉴욕을 포기할 수 있습니까?"
즉, 소련이 프랑스 파리를 향해 핵무기를 사용하게 될 때, 뉴욕이 핵 공격을 받더라도 소련을 향해 핵무기를 사용할 수 있느냐는 것이었습니다.
프랑스가 핵실험에 성공한 후, 이듬해 드골과 케네디가 만난 자리에서 드골은 다시 한 번 물었습니다.
"미국은 파리를 보호하기 위해 뉴욕을 희생할 수 있습니까?", 그리고 "어느 나라든 다른 나라를 도울 수 있어도 운명을 함께하지는 않습니다." 고 말했습니다.
이제 우리 스스로에게 물을 때입니다.
"미국은 서울을 보호하기 위해 시애틀을 희생할 수 있을까요?"
|
|
|
중국, 북한 등 … 주변국은 핵보유국, 한국은?
"핵무기는 핵무기로만 대응 가능하다."
동북아시아 국가 중 북한, 중국, 러시아는 사실상 핵무기를 보유한 국가로 분류되고 있으나, 한국과 일본은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은 국가입니다. 핵무기는 핵무기로만 대응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합리적이지 못하다는 견해가 나옵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은 자유 민주주의 진영으로 분류되고, 이에 대항하는 진영으로 분류되는 북한, 중국, 러시아가 핵무기를 보유하면서 비대칭적 상황에 처해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한국, 핵무기 플랫폼은 다 갖췄다? 🚀
IRBM, SLBM
한국은 1979년에 로켓, 탄도 미사일, 순항 미사일 등 개발을 놓고, 미국과 미사일 사거리 지침을 작성하였습니다. 이후, 2021년 5월에 문재인 정부와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한미 미사일 지침 완전 해제가 이루어졌습니다.
이후, 한국은 사거리 1,000km 이상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을 개발, 일부 실전 배치하였고,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실전 배치하고 있습니다. 이미 핵무기 탑재가 가능한 무기 체계 플랫폼을 확보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현재는 극초음속 미사일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한국은 국방과학연구소(ADD)와 국내 방산업체를 중심으로 장거리 투사 무기 체계를 개발, 확보하고 있으며 사실상 핵무기 플랫폼을 갖춘 것으로 평가합니다.
#PLUSK방산 |
|
|
토트 뉴스클리핑 📝
2025년은 휴머노이드 로봇 시대? 🤖
보스턴다이내믹스, 테슬라 등에 이어 엔비디아도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올해, AI 와 로봇의 결합을 만날 수 있을까요?
- 현대차: 보스턴다이내믹스 인수(2021) … 로봇개 '스팟', 휴머노이드 '아틀라스'
- 삼성전자: 레인보우로보틱스 자회사 편입 … 미래로봇추진단 신설
- LG전자: 로보티즈, 로보스타, 엔젤로보틱스 등 투자
- 한화: 한화로보틱스 신설, 협동로봇, 무인운반차(AGV), 자율이동로봇(AMR) 사업
- 두산: 글로벌 협동로봇 시장 경쟁력 세계 4위 유지
테슬라, 사상 첫 연간 인도량 감소 … 2024년 179만 대 판매
테슬라가 2024년에 총 179만 대의 전기차를 판매하면서 10여 년 만에 처음으로 연간 판매 감소를 기록했습니다. 테슬라의 첫 판매량 감소에 대해 많은 언론사들이 시사점을 내놓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 BYD 와의 격차가 크게 줄었고, 하이브리드 판매량이 증가했으며, 기존 자동차 메이커들의 전기차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미국산 천연가스 수요 증가한다면? … LNG선 수요 증가 가능성 🇰🇷🇺🇸
우크라이나가 자국을 거쳐 유럽으로 향하는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이 중단될 경우, 유럽은 미국으로부터 천연가스 수입을 확대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러시아에서 유럽으로 공급되던 천연가스는 가스관을 통해 수입이 가능했으나, 미국으로부터 공급받아야 할 경우, LNG선을 활용해야 합니다.
향후, 미국산 천연가스 수요가 확대될 경우, LNG선 수요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 클린 수소 보조금 지급 규정 검토 … IRA 45V 🇺🇸
미국이 유럽에 이어 글로벌 수소 인프라 확보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법안을 통해 수소 생산량에 따른 보조금 지급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보다 다양한 생산 방식을 허용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해당 법에 따라 앞으로 10년 동안, 최대 $3.00/kg 의 보조금이 지급됩니다.
|
|
|
꼭 필요한 뉴스를 클리핑합니다.
투자에 필요한 정보를 리서치합니다.
여러분의 삶에 도움이 되는 뉴스레터를 만들겠습니다.
|
|
|
뉴스프레소는 토트인베스트먼트의 뉴스레터 브랜드입니다. |
|
|
토트인베스트먼트
발행인: 성기원 thothfund@thothfund,ne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8, 4층
WeWork, 333 Seymour St, Vancouver, BC, Canada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