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경제 전망 / ETF 포트폴리오 토트 뉴스프레소, 1st January 2025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희생자와 유가족분들께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
─ 토트인베스트먼트 대표 성 기 원 ─ |
|
|
"2025년을 준비합니다."
트럼프노믹스 2.0
내년도 경제를 전망하는 리포트 대부분이 트럼프 신 행정부 무역 정책을 다루고 있습니다. 트럼프노믹스의 가장 큰 난제는 불확실성입니다. 트럼프노믹스를 정확히 예측하기보다 다양한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향을 제안합니다.
토트인베스트먼트는 트럼프노믹스의 큰 흐름을 짚어보면서 내년을 준비합니다.
- 관세 : 보편관세, 대 중국 관세, 대 캐나다-멕시코 관세 부과 여부 등 ★
- 이민 : 불법 이민자 추방, 국경 안보 강화 등
- 감세 : 세제 개혁, 재정준칙 등
- 규제 : 에너지 생산 확대, 블록체인 산업 규제 완화 등
|
|
|
'보편관세 10%' across-the-board tariff of 10%
트럼프노믹스 2기 정책 가운데 가장 치명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정책은 '보편관세' 로 모든 수입국에 10~20% 관세를 부과하는 것입니다. 골드만삭스는 보편관세가 시작되는 시점을 2025년 하반기부터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지난 트럼프 행정부는 보편관세 부과를 발표한 후, 약 6개월 동안의 유예 기간을 가짐과 동시에 주요 무역 파트너 국가들과 FTA 체결 및 개정에 나선 바 있습니다.
당시, 한국은 가장 빨리 미국과의 FTA 개정을 마무리했습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이 협상에 나섰고, 미국 자동차 수입 안전 기준 완화, 픽업트럭 관세 20년 연장 등을 통해 보편관세 대상국에서 제외되었습니다.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추진했던 보편관세 효과를 고려할 때, 미국 GDP 는 -0.3%p, 유로존은 -0.9%p, 한국과 중국은 -1.0%p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한국은 대미 수출에서 약 13%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기업들의 대미 투자 증가를 고려할 때, GDP 감소 효과가 더 커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미국 경제는 보편관세 적용으로 인한 GDP 감소 효과와 함께 인플레이션을 감내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관세 부과 시나리오에 따라 최소 1.5%, 최대 2.5% 수준의 인플레이션 증가 전망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 미국, 유로존 전망은 골드만삭스, 한국, 중국 전망은 국제신용평가사 피치(Fitch)를 참고하였습니다.)
'법인세 감세, 21% → 20%'
TCJA(Tax Cuts and Jobs Act, 감세 및 일자리법), 연방 법인세 인하
TCJA 는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추진한 것으로 2기 행정부에서 연장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 연방 법인세율을 21% → 20% 로 인하하고, 제조 기업은 15% 까지 인하하는 방안을 공약한 바 있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감세 정책이 세수 감소로 이어지고, 미국 정부 부채 비율이 더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내년 한국 경제는 IMF 2.2%, OECD 2.1% 로 전망했으며, 골드만삭스 1.8%, 씨티 1.6% 등 2.0% 전후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주요 투자은행들은 보편 관세 리스크를 적용하여 보수적으로 전망했습니다.
미국 경제 성장률은 약 2.5% 전후 성장 전망이 가장 많았으며, 유로존(Euro area) 은 1.0% 전후, 중국은 4.5% 전후, 캐나다는 1.8% 전후로 대부분 전년 대비 낮을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다만, 캐나다는 전년 대비 약 0.5% 높은 성장이 기대되었는데, 에너지 수출 다변화, 선제적 통화 정책에 따른 기대감이 높습니다.
캐나다와 멕시코의 경우, 전 제품 25% 관세 부과 가능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실제 시행 여부 또한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기관 및 투자 은행은 시행 가능성을 낮게 전망하고 있으며, 관세 영향을 성장 전망에 적용하지 않았습니다.
─ 캐나다의 에너지 수출 다변화는 '트랜스 마운틴 파이프 라인 확장 사업' 과 'LNG 캐나다' 사업이 반영된 것으로 아시아 지역의 에너지 수요를 충족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 IMF, OECD 가 전망한 2025년은 비교적 견조한 성장성을 유지하되, 전년 대비 침체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
|
|
"내년 경기침체 신호 뚜렷하다?"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회복 진행 … "경기 침체 가능성 매우 높다"
(미국채 10년물 금리 - 미국채 2년물 금리 < 0)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 해소되면서, 내년 경기침체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과거 사례를 놓고 볼 때,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 해소된 이후 1년 이내 경기침체가 발생했으며, 내년 중순 전후 경기 침체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르면 내년 하반기 경기 회복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내년 중순까지 주요국 정부 및 중앙은행의 경기부양책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내년 하반기 회복 국면이 뚜렷하게 확인될 경우, 경기 민감 업종에 속하는 산업재, 소재 업종 투자를 제안드릴 수 있으며, 차기 트럼프 행정부에서 인프라 투자가 예상됨에 따라 PAVE ETF(Global X U.S. Infrastructure Development) 를 제안할 수 있습니다. |
|
|
Core & Satellite strategy 📈
경제안보(Economic-Security) × 이익 성장 모멘텀(Earning Growth Momentum)
- AI : AI 개발 및 데이터센터 수요 지속될 것
- 반도체 : AI온디바이스 수요 증가 효과 주목
- 에너지 : 글로벌 천연가스 수요 증가 … 미국 내 석유, 천연가스 공급 및 수요 확대
- 방산 : 미국 동맹, 나토 회원국의 국방 예산 증액 압박 높아질 것
- 멀티에셋 : 경기 둔화 가능성 고려
|
|
|
- AIQ ETF : Global X Artificial Intelligence & Technology
- SOXX ETF : iShares Semiconductor
- XLE ETF : Energy select sector SPDR Fund
- SHLD ETF : Global X Defense tech
- MPAY ETF : Akros Monthly Payout
경제안보 투자 전략은 토트인베스트먼트가 2021년 이후 지속적으로 제안하고 있는 핵심 투자 전략입니다.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과 함께 발표된 「4대 핵심품목」 과 방산(Defense) 업종 투자를 제안하였으며, 이후 경제안보 관점에서 수정 및 보완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2025년에 주목할 테마로 AI, 반도체, 에너지, 방산 등을 제안드립니다.
AI 산업의 경우, 로봇 산업 투자 확대 가능성에 따른 BOTZ ETF(Global X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를 함께 제안드릴 수 있습니다.
에너지 산업의 경우, 원자력 발전 확대 가능성에 따른 URA ETF(Global X Uranium ETF) 를 함께 제안드릴 수 있습니다.
방산 투자는 미국 방산주와 글로벌 방산주 투자를 권유드리며, 토트인베스트먼트 ETF 포트폴리오는 글로벌 방산주를 중심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앞서 소개된 SHLD ETF 는 미국 주식 67.8%, 영국 주식 6.8%, 독일 주식 5.8%, 프랑스 주식 5.4%, 한국 주식 4.6% 등 전 세계 주요 방산주에 투자됩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미국 동맹국, 나토(NATO) 회원국에 대한 방위비 증액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방산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2025년 1월의 토트 ETF 포트폴리오는 아래와 같습니다. |
|
|
※ 2025년 1월 ETF 포트폴리오는 전월과 동일하게 안내됩니다.
|
|
|
토트 뉴스클리핑 📝
한국 수출액, 세계 6위(2024년 1~10월 기준) … 5위 넘본다? 🇰🇷
- 중국 : 29,323억 달러 수출
- 미국 : 17,241억 달러 수출
- 독일 : 13,436억 달러 수출
- 네덜란드 : 7,115억 달러 수출
- 일본 : 5,830억 달러 수출
- 한국 : 5,661억 달러 수출
- 멕시코 : 5,386억 달러 수출
한국 수출액이 연초 이후 6위를 수성하고 있으며, 5위인 일본과의 격차가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한국의 수출 호실적에는 미국, 아세안 수출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2025년 첨단산업 등 5대 중점분야에 총 136조 원 정책 자금 공급할 것 🇰🇷
대한민국 정부가 5대 중점 분야에 대한 자금 공급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전년(116조 원) 대비 +20조 원 증가한 것으로 총 136조 원을 지원합니다. 첨단전략산업 육성, 미래유망산업 지원, 기존산업 사업 재편 및 산업 구조 고도화, 유니콘 벤처, 중소 및 중견기업 육성, 대외여건 악화에 다른 기업 경영 애로 해소 등이 포함되었으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미래차, 원전, 바이오, 인공지능, 나노, 수소, 콘텐츠, 항공우주, 방산, 양자 컴퓨팅, 태양전지, 석유화학, 태양광, 조선 등이 포함됩니다.
xAI 투자 유치 확대 … 오픈AI 경쟁 의식하나? 🤖
일론 머스크의 인공지능 스타트업 xAI 가 지난 19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60억 달러 규모 투자 유치 문건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참여한 주요 투자자는 AMD, 엔비디아, 블랙록, 모건스탠리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현재까지 xAI 가 조달한 금액은 약 120억 달러에 달하며, 기업가치는 500억 달러로 알려졌습니다.
엔비디아, "내년 상반기 중 휴머노이드 로봇 출시할 것" 🤖
AI 에 이어 로봇 산업에 탄력이 붙을 전망입니다. 엔비디아는 내년 상반기 중 휴머노이드 로봇을 출시할 것으로 보이며, '젯슨 토르(Jetson Thor)' 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습니다. 엔비디아는 로봇과 AI 를 조합한 기술 혁신을 선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
|
|
"2025년 을사년,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뜻하시는 바 모두 이루시는 한 해를 기원합니다.
올 한 해, 토트인베스트먼트와 함께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
꼭 필요한 뉴스를 클리핑합니다.
투자에 필요한 정보를 리서치합니다.
여러분의 삶에 도움이 되는 뉴스레터를 만들겠습니다.
|
|
|
뉴스프레소는 토트인베스트먼트의 뉴스레터 브랜드입니다. |
|
|
토트인베스트먼트
발행인: 성기원 thothfund@thothfund,ne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8, 4층
WeWork, 333 Seymour St, Vancouver, BC, Canada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