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가 온다구요? … 내년 전망을 알아봅니다 :) 토트 뉴스프레소, 4th December 2024
대한민국, 미국, 캐나다 … 새 정부 들어설 가능성 높다? 🇰🇷🇺🇸🇨🇦
내년에는 무엇을 기대하고, 준비해야 할까요?
#Geopolitics #Climate_change #Trade_barrier #Economy |
|
|
정권 교체가 예상되는 주요 국가
대한민국, 미국, 캐나다
🇰🇷🇺🇸🇨🇦
"지정학적 리스크, 무역 전쟁, 기후위기 등 주목"
미국, 트럼프 신 행정부 출범 │ 2025. 01. 20. ~
캐나다, 트뤼도 총리 사임설 및 내각 불신임 가능성
대한민국,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및 탄핵 가능성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승리로 내년 대통령직 임기가 확정된 상황입니다. 반면, 한국과 캐나다는 국내 정치 이슈로 인한 정권 교체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한국은 윤석열 대통령의 내란 혐의로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상황이며, 캐나다는 저스틴 트뤼도 총리의 낮은 지지율, 의회의 내각 불신임 가능성에 따른 조기 총선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
|
|
최근, 저스틴 트뤼도 총리를 지지해온 캐나다 NDP(신민당: New Democratic Party) 가 트뤼도 총리 지지를 철회하면서 다음 회기에 '내각 불신임 동의안' 을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만약, 내각 불신임 동의안이 처리될 경우, 내년 1월 말 경에 내각 총사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국 공화당 × 캐나다 보수당 … 북미 새 정부 시작될까?
현재까지의 캐나다 정당별 지지율로 보면, 보수당의 승리 가능성이 높고, 보수당 당 대표 피에르 폴리에브(Pierre Marcel Poilievre) 가 총리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렇게 될 경우, 미국과 캐나다 모두 보수 정당이 집권하게 되며, 이민 정책에 대해 유사한 입장을 취할 것으로 보이나, 무역 정책에서 이견이 예상됩니다.
미국, 캐나다 모두 이민 정책에 관해 보수적 입장을 견지하게 될 것으로 보이며, 특히, 트럼프 당선인은 대규모 추방을 예고하기도 했습니다.
|
|
|
"2025년을 준비합니다."
지정학적 리스크, 무역 장벽, 기후 위기 등
토트 뉴스프레소가 참고한 주요 언론사들의 대부분이 내년 주요 이슈로 3가지를 꼽고 있습니다. 지정학적 리스크(Geopolitical tensions), 무역 장벽(Trade barriers), 기후 변화(Climate change), 이 외에 다양한 이슈들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위의 3가지 이슈는 거의 대부분의 언론사에서 모두 주목하는 이슈였습니다.
- 지정학적 리스크 : 러-우 전쟁의 미래, 중동 분쟁, 대만 해협 등
- 무역 장벽 : 미중 무역, 기술, 패권 경쟁 심화
- 기후변화 : 트럼프 신 행정부의 미국 파리협정 탈퇴 가능성
|
|
|
- 에너지 : 실물 경기 부진에 따른 하방 압력 높으나, 지정학적 리스크 지속으로 인한 하방 위험 상쇄될 수 있어 … 국제유가, 천연가스 가격 유지 가능성
- 기술 : 우주, 방산, 조선 산업 주목 … 특히, 위성 통신 사업자 증가 전망
- 자동차 : 전기차 증가율 감소 지속될 것, 약 15% 증가 전망
올해도 인공지능, 로못 산업 강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습니다. 특히, 인공지능 산업은 경기 변동과 관련없이 빅테크 중심으로 투자 확대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으며, 전 세계 주요 국가의 정부 주도형 투자가 예상되는 산업입니다.
↓ MERPHI - robotics, 스웨덴 로봇 기업
|
|
|
인공지능, 로봇 산업 🤖
한국은 세계 5위 안에 드는 인공지능 기술 선진국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발표되는 인공지능 관련 순위를 보면 10위권 수준으로 밀리는 양상을 보입니다. 미국은 주요 빅테크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투자가 진행되고 있으나, 한국은 기업들이 인공지능 투자에 다소 인색한 측면이 있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최근, 우리 정부가 인공지능과 로봇 산업 지원 예산을 크게 확대한 이유 중 하나로 평가합니다. 국내 주요 연구 기관, 언론 등을 통해 인공지능 투자에 대한 내용이 많이 다뤄지는 것을 볼 때, 내년은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투자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친환경 투자, 계속되어야 한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신 행정부가 석유, 천연가스 수출 확대를 위해 주요 동맹국을 압박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파리협정 탈퇴 가능성을 보더라도 친환경 투자의 매력도가 이전보다 많이 줄었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큰 틀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용이 감소했으며, 주요국 정부와 기관은 탄소 중립 목표를 향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음에 주목합니다. 탄소 중립 목표가 완화되었을 뿐, 노력은 지속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CCUS; Carbon Capture Utilize and Storage 기술은 대기 중 탄소를 직접 포집하고, 활용 그리고 보관하여 탄소를 영구 제거합니다. 보관은 탄산염 형태로 만들어 매립하거나 폐 유전에 활용하여 영구 보관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국내에는 로우카본(Low Carbon) 이 대표적이며, 국가 및 공공기관, 해외 수출 등을 중심으로 CCUS 기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개인 및 법인 차원의 기부 또한 가능합니다.
※ 로우카본(Low Carbon)은 한국의 CCUS(탄소 포집, 활용 및 저장) 기술 기업입니다.
↓ 로우카본(Low Carbon) 운영중인 탄소포집시설(DAC) |
|
|
경기 침체 가능성, 배제할 수 없다? 📉
- 미국 국채,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해소 … '위기 지표 ON'
경기침체 전조 현상 중 하나로 제시되는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현상이 해소되었습니다.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해소된 후, 약 1년이 지난 시점부터 경기침체가 발생해왔음을 고려할 때, 내년 경기침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 미국채 10년물 금리 - 미국채 2년물 금리
─ 미국채 10년물 금리 - 미국채 3개월물 금리
|
|
|
성장, 물가, 고용, 금리 환경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투자를 적용해나갈 계획이며, 토트 ETF 포트폴리오 또한 내년은 실물 경기 변화를 주시하면서 중위험 × 중수익 투자 전략을 견지해갈 것입니다. |
|
|
토트 뉴스클리핑 📝
지나 라이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 "미중 경쟁, 수출 경쟁보다 투자가 우선돼야" … CHIPS 법 강조 🇺🇸
지나 라이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이 WSJ 와의 인터뷰를 통해 미국과 중국의 기술 경쟁 우위의 중요성을 밝히면서, '수출 통제보다 기술 투자 지원이 우선' 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중국에 대한 수출 통제는 '과속 방지턱' 에 불과하다고 밝히면서, "중국을 이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중국보다 앞서가는 것이다." 라고 혁신 우위를 주장했습니다.
라이몬도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트럼프 신 행정부가 바이든 행정부서 만든 CHIPS, IRA 등의 기술, 제조 관련 육성 법안 폐지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이며, 미중 패권 경쟁이 그만큼 치열한 과정에 있음을 시사합니다.
미국 3분기(3Q2024) GDP 성장률, 3.1% 확정 … 예상치 상회 🇺🇸
미국 3분기 GDP 성장률이 3.1% 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당초 예상했던 2.8% 를 상회한 것으로 미국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수출 증가, 소비 지출 강세에 따른 것으로 보이며, 4분기에도 3.2% 수준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미국 의회, 'SHIPS' 법안 초당적 발의 … '미국 조선 및 항만 인프라 번영과 안보를 위한 법안' 🇺🇸
미국 의회는 지난 19일, 동맹국과 협력해 자국 조선업 경쟁력 강확를 위한 '미국 조선 및 항만 인프라 번영과 안보를 위한 법안', 이른 바 SHIP 법을 발의했습니다. 외국 선적 선박, 즉, 중국산 선박 의존도를 탈피하고, 미국 내 조선 산업 공급망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입니다. 특히, 국내 조선 업계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로봇, 방산 등 4대 첨단산업에 25.5조 원 투자" 🇰🇷
'제7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 에서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 바이오 외 로봇, 방산 등을 신규 지정하여 R&D 투자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올해 대비 40% 증액된 25.5조 원을 내년 지원할 예정입니다.
한국공학한림원 반도체특별위원회 연구결과 발표회 개최, "'KSMC' 필요, 정부 주도형 파운드리 설립해야" 🇰🇷
위 보도는 주요 뉴스로 소개된 바는 없으나, 토트 뉴스클리핑 차원에서 주요 뉴스로 평가하여 클리핑하였습니다. 🔖
한국공학한림원은 지난 18일, 반도체특별위원회 연구결과 발표회를 통해 한국 반도체 산업의 위기를 진단하고 해법을 제시했습니다. 그 중 권석준 성균관대 교수가 제시한 정부 주도형 파운드리 설립(KSMC) 에 주목합니다. 한국 파운드리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20조 원 투자를 제시했습니다.
|
|
|
꼭 필요한 뉴스를 클리핑합니다.
투자에 필요한 정보를 리서치합니다.
여러분의 삶에 도움이 되는 뉴스레터를 만들겠습니다.
|
|
|
뉴스프레소는 토트인베스트먼트의 뉴스레터 브랜드입니다. |
|
|
토트인베스트먼트
발행인: 성기원 thothfund@thothfund,ne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8, 4층
WeWork, 333 Seymour St, Vancouver, BC, Canada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