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 연착륙(Soft-Landing), LLM AI 시대는 끝났다? Ⅰ. 미국 경제의 연착륙(Soft-Landing) 신호
CPI(소비자물가지수)↘ PPI(생산자물가지수)↘ 실업률↗
Consumer Price Index(CPI); 소비자 물가 지수
Producer Price Index(PPI); 생산자 물가 지수
Unemployment Rate; 실업률
Industrial Production; 산업생산
지난 주에 발표된 미국 CPI, PPI, 실업률, 그리고 최근 발표된 산업생산 지표를 보면, 미국 경제가 완만한 연착륙(Soft Landing) 상황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물가는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실업률은 점진적으로 상승하면서 다소 타이트한 고용 환경에 진입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주거비, 비에너지 관련 서비스는 전년 대비 5.5%, 5.3% 로 높은 수준입니다.
|
|
|
인플레이션 지표 둔화, 소매판매 정체 … 연내 금리인하 가능성 높여
미국의 주요 투자은행들은 주택 임대료 상승에 주목합니다. 미국 CPI 가 이전보다 둔화된 흐름을 보이고 있음에도, 임대료가 상승률이 미국 CPI 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UBS, BoA(Bank of America) 등은 인플레이션 하락세가 상당 기간 이어질 것이며, 주택 인플레이션이 점진적으로, 혹은, 올해 내내 둔화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WSJ 은 금년말 금리 인하 가능성을 유지하고,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경감시키기에는 충분하다고 분석함과 동시에, 연준이 9월 이전에 금리를 인하하기 어려울 것으로 진단했습니다.
|
|
|
Ⅱ. OpenAI 의 GPT4o 가 그리는 세상은?
LLM(대형 언어 모델) 시대를 넘어 AGI(인공 일반 지능) 시대로 … Multimodal Model(멀티모달 모델) 그리는 OpenAI
OpenAI 가 발표한 GPT-4o 는 인간과 AI 의 소통 방식에 텍스트를 넘어 오디오, 비전 등 실시간으로 추론할 수 있는 모델입니다. 즉, 인간이 AI 와 자유롭게 소통하면서 정보를 주고받는 시대에 가까워온 것입니다.
이를 통해 볼 때, 인공지능에서의 LLM(대형 언어 모델) 시대는 사실상 최신 모델이 아니며, 어쩌면 끝물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동안 인공지능은 텍스트; LLM 기반으로 학습해왔지만, 이제는 여러 매체, 방면으로 학습되어 하나의 지능으로 통합될 것으로 보입니다. 2차원 지능에서 3차원 지능으로의 발전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까요?
|
|
|
텍스트 기반의 인공지능 학습은 분명 한계가 있었습니다.
멀티모달 모델 인공지능을 통해, 인공지능은 눈, 귀, 입을 얻었습니다. 어쩌면, 다양한 경로의 학습 과정을 통해 코, 전파 파장 등 인간이 느끼지 못하는 영역까지 학습하게 될 수 있습니다.
온디바이스AI 는 인공지능의 학습 통로이자 AI 를 가장 잘 설명하는 UI(User Interface), UX(User Experience)가 될 것입니다.
OpenAI 가 만든 인공지능이 애플 제품, iOS18 에 탑재됩니다.
OpenAI 의 생성형 인공지능이 애플의 생태계와 제품에 탑재되면서, 애플로서는 강력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며, OpenAI 는 생성형AI 의 대중화와 22억의 애플 생태계로부터 나오는 정보를 학습하게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삼성전자 갤럭시S24 가 최초의 온디바이스AI 스마트폰으로 주목을 받았지만, OpenAI 의 GPT 모델이 애플 iOS18 에 적용될 경우, 애플은 압도적인 AI 성능, 경쟁력을 보여줄 것입니다.
구글은 제미니(Gemini) 가 유튜브 영상을 분석하고, 오픈AI 가 GPT-4o 와 GPT-비전 등 모델을 통해 멀티모달의 표준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한국에서는 삼성 가우스, 네이버 HyperCLOVA X, LG 액사원 등이 멀티모달 모델로 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LLM #AGI #Multimodal #OpenAI #GOOGL #APPL
|
|
|
Ⅲ. 경제안보 시대, "미중 기술, 무역, 패권 경쟁 계속될 것"
the Economist, "글로벌 무역 시스템 붕괴"
이코노미스트는 세계 각국 정부가 1990년대 이후, 약 4배 이상 무역 제재를 가하고 있으며, 무역량과 해외 투자의 성장이 정체되었음을 지적합니다.
징벌적 경제 조치, 산업 정책의 유행, 규칙 기반 질서(Rules-based trading system) 붕괴 등 … 세계화(Globalization), 자유무역 질서가 훼손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자유무역 시대의 끝을 보고 있습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시작된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로 미중 무역 전쟁이 발발했으며, 이어 기술 경쟁, 그리고 대만 해협과 태평양 안보를 놓고, 패권 경쟁으로 이어졌습니다.
우리가 주목하는 부분은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100% 관세를 부과한 것으로, 자유무역의 끝, 보호무역의 진행을 목도하고 있습니다.
|
|
|
- 반도체: 25% → 50%
- 배터리: 7.5% → 25%
- 전기차: 25% → 100%
- 태양광 패널: 25% → 50%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집권 초, 4대 핵심 공급망(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희토류 등) 점검에 나서면서 사실상 중국과의 경쟁이 계속될 것임을 예고했습니다. 현재까지,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집중 관리하는 주요 제조 품목을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바이오(의약), 조선(Shipbuilding), 방산(미국 내 제조비율), 희토류 등을 열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오는 11월의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하더라도 비슷한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진영 간 대립, 무역 블록화 현상
한국의 최대 수출국: 중국 → 미국
미국의 최대 수입국: 중국 → 멕시코
한국, 최대 수혜국이 될까?
반도체, 바이오(의약), 배터리, 조선 등 … 세계 3위 이내 생산량
방산 수출 증가 등 주요 제조 품목서 경쟁력 높아
한국은 주요 제조 품목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량을 보입니다. 반도체, 바이오, 배터리, 조선 등은 세계 3위 이내 생산량을 보이며, 최근, 방산 수출 증가세 또한 눈에 띄게 증가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만, 미국 또한 제조 및 생산 내재화 정책을 지향하는 상황에서, 반도체, 배터리 등 첨단 분야의 한국 내 투자가 둔화될 수 있고, 나아가 인재유출 리스크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습니다.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방산 #조선 #중공업
Ⅳ. 주요 뉴스 요약
1. <로이터> "이란 대통령 등 헬기 추락으로 사망 추정"(2024-05-20, 12:00 KST)
2. 중국 경제당국, "1조 위안(약 189조 원 규모) 초장기 국채 발행 계획" … 부동산 경기부양 정책
|
|
|
토트인베스트먼트 thothfund@thothfund,ne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8, 4층
캐나다 Marine Gateway, 450 SW Marine Dr 18F, Vancouver, BC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